이보다 예전 이슈들을 아시고 싶으시면 아래를 클릭해서 이전날짜 게시물을 보시길...
(7/28, 2025) 한국 비트코인 시장, ‘김치 프리미엄’ 마이너스 기록… 무슨 일이 있었을까?
이보다 예전 이슈들을 아시고 싶으시면 아래를 클릭해서 이전날짜 게시물을 보시길... (7/28, 2025) 미국의 고율 관세 예고… 한국, ‘미국 조선업 부흥’ 제안으로 정면 돌파 나서최근 미국이 한국
a4.masterbdzero.com
이미 보신 자료라면 아래를 클릭해서 다음날짜 게시물을 보시길...
(7/29, 2025) 고부가가치 산업 지원을 위한 150조 원 규제혁신 펀드
1. 펀드 추진 배경과 개요정부는 인공지능(AI), 로봇, 반도체, 바이오 등 전략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원래 100조 원 규모로 계획된 정책 펀드를 150조 원 이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이
a4.masterbdzero.com
1. 인구 증가가 의미하는 바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24년 한국의 총인구는 약 51,217,221명으로 전년보다 소폭 감소하였으나, 2년 연속 인구 증가라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이는 2021년부터 이어진 내국인 인구 감소 추세를 외국인 유입 확대가 상쇄한 결과입니다
2. 외국인 체류자 수 증가 – 사상 첫 200만 명 돌파
- 2024년 말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약 2,650,783명으로, 전년 대비 5.6% (약 110,000명) 증가하였습니다
- 특히, 외국인 중 장기 체류자는 약 2,042,017명, 단기 체류자는 약 608,766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 체류 외국인이 처음으로 200만 명을 넘어섰고, 이는 전체 인구의 약 5.2% 수준입니다
3. 내국인 인구 감소 vs 외국인 증가
- 같은 기간 한국인 인구는 49,760,000명 수준, 0.2% 감소하며 네 해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 반면 외국인 인구는 204만 명에서 약 265만 명으로 급증했으며, 특히 베트남, 중국계·태국 출신 외국인의 증가가 두드러졌습니다
4. 국적별 구성과 변화
-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중국 국적 동포(한국계 중국인)**이 약 **958,959명(36.2%)**으로 가장 많고, 이어 베트남(305,936명, 11.5%), 태국(188,770명, 7.1%), 미국(170,251명, 6.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베트남 출신 외국인은 전년 대비 15.3% 증가, 미얀마는 31.3% 증가, 네팔은 17.0% 증가하며 큰 폭의 성장을 보였습니다
5. 시사점과 사회적 의미
- 인구 정체와 고령화에 직면한 한국에서, 외국인의 유입은 인위적인 인구 유지 기제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외국인은 노동력뿐 아니라 소비 시장에 지속 가능한 소비 주체로 참여하면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다만, 내국인의 인구 감소 지속, 높은 출산 부담, 경제적 불확실성 등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유효하며, 외국인 유입 확대만으로는 장기적 해결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6. 요약 정리 📝
항목수치 및 변화
총 인구 (2024말) | 약 51.22백만 명 |
내국인 인구 | 약 49.76백만 명, –0.2% 감소 |
체류 외국인 수 | 약 2.65백만 명, +5.6% 증가 |
외국인 비율 | 전체의 약 5.2% |
증가 주요 국가 | 중국계, 베트남, 태국, 미국 순 |
의의 | 인구 감소 국면에서 인구 유지 및 경제활력 보완 |
한계 | 저출산·고령화, 내국인 감소 등 구조적 인구문제 지속 |
이처럼, 한국 사회는 외국인 유입을 통해 짧은 기간 동안 인구 감소 흐름을 멈추고 있으나, 근본적인 사회구조 개선과 출산율 제고 없이는 지속 가능한 인구 성장은 어렵습니다.
'2025년 7월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7/29, 2025) 구준엽 & 쉬시위안 – 운명처럼 이어진 사랑과 깊은 이별 (6) | 2025.07.29 |
---|---|
(7/29, 2025) 고부가가치 산업 지원을 위한 150조 원 규제혁신 펀드 (0) | 2025.07.29 |
(7/28, 2025) 한국 비트코인 시장, ‘김치 프리미엄’ 마이너스 기록… 무슨 일이 있었을까? (1) | 2025.07.28 |
(7/28, 2025) 미국의 고율 관세 예고… 한국, ‘미국 조선업 부흥’ 제안으로 정면 돌파 나서 (3) | 2025.07.28 |
(7/28, 2025) 김여정, 한국 정부의 대화 제안 완강히 거부 — 한반도 긴장 다시 고조되나 (1) | 202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