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다 예전 이슈들을 아시고 싶으시면 아래를 클릭해서 이전날짜 게시물을 보시길...
(7/30, 2025) 일본 관측, 캄차카 인근 강진 발생 및 쓰나미 경보
◆ 지진 개요2025년 7월 30일 새벽, 러시아 캄차카 반도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8.7~8.8의 초강력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6월 8일 이래 역대 6번째 규모의 지진으로 기록되었으며 깊이는 약
a4.masterbdzero.com
이미 보신 자료라면 아래를 클릭해서 다음날짜 게시물을 보시길...
(7/30, 2025) 정의선 현대차 회장, 한·미 무역협상 지원 위해 워싱턴 출장
◆ 방미 목적 및 배경정의선 회장께서는 2025년 7월 30일 오후,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하셨습니다. 이는 내달 1일부로 예정된 미국의 한국산 수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한 마지막 협
a4.masterbdzero.com
◆ IMF의 최신 전망 요약
국제통화기금(IMF)은 2025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기존 1.0%에서 0.8%로 0.2%포인트 하향 조정하였습니다
이는 최근 발표된 2025년 7월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의 일부 내용입니다
반면 2026년 전망은 1.4%에서 1.8%로 0.4%포인트 상향 조정되어 회복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 배경 및 주요 원인
- 상반기 경제성장 부진
- 올해 상반기 국내 경제가 기대에 못 미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IMF 관계자는 "정치 불확실성과 글로벌 무역 긴장이 하방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하였습니다
- 글로벌 교역 여건 개선과는 대비되는 흐름
- IMF는 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은 2.8%에서 3.0%로 상향하고, 특히 신흥국들은 3.7%에서 4.1%로 상향 조정하였으며 중국도 4.0%에서 4.8% 성장이 예상될 만큼 개선세가 두드러졌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주요 선진국 중 유일하게 하향 조정된 사례였습니다.
- 미국 관세 등 무역 불확실성 주 요인
- IMF는 미국이 8월 1일 예정된 대한국 관세를 연기한 정책 등이 글로벌 교역 환경에는 다소 긍정적 요인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세 리스크와 무역정책의 불확실성이 한국에는 계속된 압박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 전망 포인트 정리
항목내용
2025년 성장률 | 0.8% (기존 1.0%에서 하향 조정) |
2026년 성장률 | 1.8% (1.4% → 1.8%로 상향 조정) |
상향 국가 | 글로벌 및 신흥국 평균, 미국·영국·일본 등 대부분 국가 |
하향 국가 | 한국, 러시아 등 일부 국가만 해당 |
하향 원인 | 정치적 불확실성과 글로벌 무역 긴장, 내부 경기 둔화 |
'2025년 7월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7/31, 2025) 한미 상호관세 협상 타결…487조 원 투자 조건 제시 (4) | 2025.07.31 |
---|---|
(7/30, 2025) 정의선 현대차 회장, 한·미 무역협상 지원 위해 워싱턴 출장 (3) | 2025.07.30 |
(7/30, 2025) 일본 관측, 캄차카 인근 강진 발생 및 쓰나미 경보 (1) | 2025.07.30 |
(7/29, 2025) 구준엽 & 쉬시위안 – 운명처럼 이어진 사랑과 깊은 이별 (6) | 2025.07.29 |
(7/29, 2025) 고부가가치 산업 지원을 위한 150조 원 규제혁신 펀드 (1) | 202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