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다 예전 이슈들을 아시고 싶으시면 아래를 클릭해서 이전날짜 게시물을 보시길...
(9/24, 2025) 부산국제영화제와 개막작 ‘어쩔 수가 없다’의 화제
이보다 예전 이슈들을 아시고 싶으시면 아래를 클릭해서 이전날짜 게시물을 보시길... (9/24, 2025) 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씨, 부패 혐의 재판 개시김건희 여사 부패 혐의 재판 개시 — 한
a4.masterbdzero.com
이미 보신 자료라면 아래를 클릭해서 다음날짜 게시물을 보시길...
(9/25, 2025) 한·미 비자 문제, 3,500억 달러 투자에 그림자 드리우다
사건 개요한국 정부는 최근 미국과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및 무역 협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비자 문제가 돌발 변수로 등장하면서, 양국 협상의 앞길이 불투명해지고 있
a4.masterbdzero.com
한 줄 요약
국회가 ‘문신사법’을 통과시키며, 비의료인도 국가시험을 거쳐 면허를 취득하면 합법적으로 문신 시술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법은 공포 후 2년 뒤 시행되며, 그 사이 제도 정비와 과도기 특례가 운영됩니다.
핵심 내용 정리
- 누가 시술할 수 있나요?
‘문신사’ 국가시험에 합격해 면허를 받은 사람만 시술할 수 있습니다. 의료인의 문신 시술도 기존처럼 가능합니다. - 무엇이 ‘문신 행위’인가요?
일반 문신과 **반영구 화장(눈썹·아이라인·입술·두피 등)**을 포괄합니다. - 시행 시점
법은 공포 후 2년 경과 시점부터 시행됩니다(언론 보도 기준, 2027년경). 시행 전까지 임시등록·면허 취득 유예 등 과도기 특례가 마련됩니다. - 의무와 준수사항
문신사는 위생·안전관리 교육 의무를 이행하고, 시술 일자·사용 염료·부위 등 기록·보관을 해야 합니다 - 금지 사항
무면허 시술, 보호자 동의 없는 미성년자 시술, 허가받지 않은 장소에서의 시술, 그리고 문신 제거 행위는 금지됩니다.
왜 지금 바뀌었나요?
- 대한민국은 오랫동안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불법으로 보아 왔고, 1992년 판례와 2022년 헌법재판소 결정도 이 기조를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사회 인식 변화와 업계 규모 확대에 비해 제도가 뒤따르지 못한다는 지적이 컸습니다. 이번 법은 현실화된 수요와 안전관리를 제도권으로 끌어들이려는 취지입니다.
- 국회 본회의에서 법안은 재석 202명 중 찬성 195, 기권 7로 통과했고, 정부도 국가시험·면허·위생기준을 갖춘 관리체계를 공식화했습니다.
무엇이 달라지나요? (소비자 & 업계 영향)
- 소비자
합법적 면허·시설에서 시술받을 수 있어 위생·안전성이 높아지고, 시술 이력 관리로 사후 대응도 수월해질 전망입니다. - 업계
그동안 ‘그림자 산업’으로 남았던 종사자들이 합법적으로 영업할 길이 열립니다. 다만 교육·시설 요건, 기록관리 등 컴플라이언스 비용이 발생합니다.
타임라인 체크
- 2025.9.25 국회 본회의 통과 → 2) 대통령 공포 → 3) 공포 후 2년 준비기간(국가시험·면허·기준 고시, 임시등록 등) → 4) 시행(2027년경).
자주 받는 질문(FAQ)
- Q. 반영구 화장도 해당되나요?
네, 반영구 화장은 ‘문신 행위’에 포함됩니다. 면허를 갖춘 문신사만 시술할 수 있습니다. - Q. 기존 문신 제거 시술은요?
문신사에게 문신 제거는 금지됩니다(의료 영역). - Q. 미성년자 시술은 가능한가요?
보호자 동의 없는 미성년자 시술은 금지입니다.
한 문장 평
“금지에서 관리로—문신을 제도권에 편입해 안전·위생을 끌어올리면서 예술·자율성도 보장하려는 변화입니다.” (입법 취지·시행 일정·의무 기준은 정부 발표와 본회의 통과 기사에서 확인됩니다.)
'2025년 9월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9/25, 2025) 정부조직법 개편, 국회 ‘전면 충돌’ 예고…무제한 토론·패스트트랙 공방 확산 (0) | 2025.09.25 |
---|---|
(9/25, 2025) 한·미 비자 문제, 3,500억 달러 투자에 그림자 드리우다 (0) | 2025.09.25 |
(9/24, 2025) 부산국제영화제와 개막작 ‘어쩔 수가 없다’의 화제 (0) | 2025.09.24 |
(9/24, 2025) 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씨, 부패 혐의 재판 개시 (0) | 2025.09.24 |
(9/24, 2025) 한·미,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진전 발표 (0) | 2025.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