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6, 2025) 하정우 AI수석 임명

이보다 예전 이슈들을 아시고 싶으시면 아래를 클릭해서 이전날짜 게시물을 보시길...

 

(6/16, 2025) 美-한 협상팀, 무역관세 테이블 협상 돌입

📌 1. 특사단 구성 및 TF 출범6월 16일, 산업부가 미국 관세·비관세 대응을 위한 한·미 통상 협상 TF 출범 발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주도하에, 산업·무역·에너지 각 부처·민간 업계가 참여하

a4.masterbdzero.com

 

이미 보신 자료라면 아래를 클릭해서 다음날짜 게시물을 보시길...

 

(6/17, 2025) 한·미 무역관세 협상 본격화 — 7월 ‘관세 패키지’ 목표

2025년 6월 중순, 한·미 양국이 관세 및 비관세 장벽 해소를 위한 본격적인 무역 협상 테이블에 올라섰어요📌 1. 범정부·민관 TF 출범6월 16일, 산업부 주도로 **‘대미 협상 TF’**가 정식 출범했어

a4.masterbdzero.com

 

 

 

 

2025년 6월 15일, 이재명 정부가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이라는 신설 보직에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혁신센터장을 임명했어요. 민간 AI 전문가 출신으로는 이례적인 고위 참모 등용이어서 기대와 함께 우려도 쏟아지고 있는데요, 블로그용 요체로 정리해 드립니다.


🧠 1. 주요 인물 & 배경

  • 하정우(1977년생, 만 48세)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 박사 출신 
  • 네이버에서 하이퍼클로바X 등 LLM 개발 총괄, 클로바 AI랩·AI혁신센터장 역임 
  • 산업·학계·시민사회 활동 활발, 과학기술계 리터러시 향상· AI 정책 제안자로도 알려짐 

🚀 2. AI재단 개편 & 정책 방향

  • AI미래기획수석 신설로 AI가 대통령실 핵심 전략 분야로 부상,
  • “AI 3대 강국”과 “100조원 규모 민·관 투자” 공약에 연계된 조직적 포석
  • 하 수석은 “소버린 AI”, 즉 “주권형 AI”를 주창하며, GPU 인프라 확충·모델·기업·국민 혜택 선순환 구조 구축을 강조해 왔어요 

💡 3. 발언과 정책 방향성

  • “100조원도 부족하다”며 정부·민간 합쳐 연간 20조원 투자 제안 
  • 국민에게 AI 바우처 제공 제안: “한 달 2만 원이면 AI 스타트업 시드 지원” 
  • GPU 인프라 공급 중심 정책, 공공 데이터 개방, 규제 완화, 민간 자율 역할 강조

🔍 4. 기대와 우려

  • 긍정 전망
    • 업계·학계·시민사회가 “현장 경험 겸비한 적임자”라 환영
    • 통합 전략·예산 등 대통령실 컨트롤타워 역할 기대
  • 우려도 존재
    • “AI 집중하다가 과학기술 전체 균형 흐트러질 수 있다”는 지적
    • 특히 비(非)AI 과학기술 분야는 상대적 소외 우려